개발

데이터와 정보 본문

CS/컴퓨터과학

데이터와 정보

Study 2022. 11. 12. 20:39
  1. 데이터와 정보
     - 데이터와 정보의 관계 → I=P(D) → “데이터를 대상으로 처리기에서 처리해서 얻은 결과가
        정보이다.”
     - 데이터 처리(정보처리) → 데이터를 정보로 가공하고 변환하는 일련의 과정
     - 데이터 → 현실 세계로부터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 단순히 얻어지는 사실이나 값
     - 정보 → 어떤 상황에 대해 적절한 의사결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지식
     - 모든 데이터는 유형에 무관하게 비트 패턴이라는 일관된 방식으로 표현
     - 데이터의 표현 단위 → 비트, 바이트, KB, MB, GB, TB, PB, EB, ZB, YB
      • 워드 → 컴퓨터 연산의 기본 단위가 되는 정보의 양
  2. 진법
     - r진법 → 0, 1, …, (r-1)까지의 숫자만을 사용해서 수를 표현하는 방식/단위
     - 2진법, 8진법, 10진법, 16진법간의 변환이 필요
      • 2진수/8진수/16진수를 10진수로 변환 → 각 위치에서의 숫자값과 해당 위치에서의 
          가중치(자릿값)를 곱한 후, 그 결과들을 모두 더한다.
      • 10진수를 r진수로 변환 → 정수 부분과 소수 부분을 나눠서 각각 변환한 후, 그 결과를 단순히 
          연결해서 표현함
      • 2진수와 8진수/16진수의 관계 → 2진수의 3자릿수 = 8진수의 1자릿수, 2진수의 4자릿수 = 
          16진수의 1자릿수
  3. 정수 표현
     - 정수 표현 방법의 종류 → 부호 없는 정수, 부호 있는 정수
      • 부호 있는 정수의 표현 → 종류: 부호화-크기 방식, 1의 보수 방식, 2의 보수 방식 → 
          양의 정수는 모두 동일한 형태를 갖지만, 음의 정수의 경우에는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짐
     - 부호 없는 정수 → 부호 비트가 없으며, 주어진 n비트 전체를 사용해서 정수(0~2n-1)를 표현
     - 부호화-크기 방식 → 최상위 1비트를 부호 비트로 사용하고, 음의 정수는 음수에 대한 절대값으로 
       표현
     - 1의 보수 방식 → 부호 비트 사용. 음의 정수는 양의 정수 표현에 대한 보수(0→1, 1→0)를 취해서 
       표현
     - 2의 보수 방식 → 부호 비트 사용. 음의 정수는 1의 보수 방식의 결과에 1을 더해서 표현
  4. 실수 표현
     - 부동소수점 방식을 사용해서 표현
      • 표현 형식 → (-1)부호×가수×2지수 → 부호(1비트)+지수(m비트)+가수(n비트)
     - 지수의 표현
      • 초과표기법 → 부동소수점의 지수 부분만을 위한 표기 방법으로, m비트가 할당된 경우 두 개의 
          매직 넘버(2m-1, 2m-1-1)가 존재
      • 지수값을 저장하는 경우 → (지수값 + 매직 넘버)를 이진수로 표현/저장
      • 저장된 지수값을 해석하는 경우 → 지수 부분의 이진수를 십진수로 변환한 값에서 매직 넘버를 
          뺀다.
     - 가수의 표현
      • 정규화 → 소수점 바로 왼쪽에 오직 하나의 1만 있도록 소수점의 위치를 조정 → 가수값을 저장
          하는 경우에는 소수점 이하 부분만 저장
  5. 문자 표현
     - 각 문자마다 유일한 코드가 부여되며, 이를 위해 약속된 문자 체계가 필요
      • 대표적인 문자 체계의 종류 → ASCII (또는 확장된 ASCII), 유니코드

'CS > 컴퓨터과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컴퓨터 과학 (1)  (0) 2022.11.12